728x90
반응형
임신 3개월 (9주 ~12주) 증상부터 알아야 할 것
♣ 태아의 발육
~9주 : 손발의 모양, 머리와 몸통의 구분이 생긴다.
기초적인 안면골격이 나타나고 눈꺼풀이 눈을
덮게 되고 와이가 뚜렷이 나타나며, 윗입술이
발달하며 본격적인 얼굴 모양을 갖추게 된다.
~12주 : 손가락, 발가락의 형태가 뚜렷해지며,
팔다리의 활동을 시작한다. 심장도 완성!
♣ 모체의 변화
입덧이 점점 심해지고, 소변이 더욱 잦아진다.
기초대사량 25% 정도 증가. 혈액량 증가로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
호르몬 분비로 피부 트러블이 증가한다.
♣ 임신과 일상생활
가사생활 | 무거운것, 무리한 동작, 배에 압박을 가하는 행동은 피하고, 피로를 느끼면 곧바로 휴식을 한다. |
여행 | 장거리 여행은 가급적 피하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진동이 적은 기차여행이 안전하다. |
휴식 | 매일, 일정한 휴식기간을 정해놓고 편안하게 누운 자세로 휴식하는게 좋다. |
목욕 | 뜨거운 물에서 오랫동안 목욕하는 것은 삼가한다. |
의복 | 통풍이 잘되고 신축성이 좋으며, 부드러운 느낌의 면소재로 넉넉하고 입고 편하기 좋은 옷을 선택한다. |
구두 | 약 3cm 정도 높이의 안정감 있는 구두, 편안한 운동화를 추천한다. |
♣ 입덧이란?
☞ 임신 호르몬 때문에 생기는 전반적인 소화장애로
메스꺼움, 울렁거림 또는 속 쓰림, 현기증, 심한 경우
구토를 동반하기도 한다.
정도는 개인에 따라 다양하며 보통은 3개월(12주)이
지나면 좋아진다.
☞ 증세가 심각하여 심한 체중감소와 영양장애, 탈수를
동반한 경우에는 응급실 방문 또는 입원하여
수액치료, 약물치료를 해야 된다.
▶ 입덧이 심할 때 식사 요령 ◀ ① 1일 5~6회 소량씩 자주 식사를 한다. ② 공복 시에 더욱 구토가 심하므로 속이 비지 않도록 잠자리에서 일어날때 토스트, 크래커 등을 먹은후 일어난다. ③ 식사 전후로 30분 정도는 안정을 취한다. ④ 국물이나 음료는 식사시에 함께 먹지 말고 식후 30분 후에 마신다. ⑤ 음식 냄새를 피하고 주변 공기를 자주 환기 시킨다. ⑥ 찬 음식을 이용하면 음식 냄새를 덜 느끼게 된다. ⑦ 튀긴 음식은 피한다. ⑧ 잠자리에 들기 전에 간단한 간식을 먹고 잔다. |
728x90
'육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5개월 (17주 ~20주) 증상부터 알아야 할 것 (0) | 2021.04.09 |
---|---|
임신 4개월 (13주 ~16주) 증상부터 알아야 할 것 (0) | 2021.04.09 |
임신 2개월 (4주 ~8주) 증상부터 알아야 할 것 (0) | 2021.04.07 |
임신 1개월 (4주 미만) 증상부터 알아야 할 것 (0) | 2021.04.07 |
신생아 BCG 결핵 예방접종 경피용 피내용 경과과정 (0) | 2021.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