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정보

임신 3개월 (9주 ~12주) 증상부터 알아야 할 것

728x90
반응형

임신 3개월 (9주 ~12주) 증상부터 알아야 할 것

 

 

 

 

♣ 태아의 발육

 

~9주 : 손발의 모양, 머리와 몸통의 구분이 생긴다.

기초적인 안면골격이 나타나고 눈꺼풀이 눈을

덮게 되고 와이가 뚜렷이 나타나며, 윗입술이

발달하며 본격적인 얼굴 모양을 갖추게 된다.

~12주 : 손가락, 발가락의 형태가 뚜렷해지며,

팔다리의 활동을 시작한다. 심장도 완성!

 

 

 

♣ 모체의 변화

 

입덧이 점점 심해지고, 소변이 더욱 잦아진다.

기초대사량 25% 정도 증가. 혈액량 증가로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 

호르몬 분비로 피부 트러블이 증가한다.

 

 

 

 

♣ 임신과 일상생활

가사생활 무거운것, 무리한 동작, 배에 압박을 가하는 행동은
피하고, 피로를 느끼면 곧바로 휴식을 한다.
여행 장거리 여행은 가급적 피하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진동이 적은 기차여행이 안전하다.
휴식 매일, 일정한 휴식기간을 정해놓고 편안하게
누운 자세로 휴식하는게 좋다.
목욕 뜨거운 물에서 오랫동안 목욕하는 것은 삼가한다.
의복 통풍이 잘되고 신축성이 좋으며, 부드러운 느낌의
면소재로 넉넉하고 입고 편하기 좋은 옷을 선택한다.
구두 약 3cm 정도 높이의 안정감 있는 구두, 편안한 운동화를
추천한다.

 

 

 

♣ 입덧이란?

 

☞ 임신 호르몬 때문에 생기는 전반적인 소화장애로

메스꺼움, 울렁거림 또는 속 쓰림, 현기증, 심한 경우

구토를 동반하기도 한다.

정도는 개인에 따라 다양하며 보통은 3개월(12주)이

지나면 좋아진다.

 

증세가 심각하여 심한 체중감소와 영양장애, 탈수를

동반한 경우에는 응급실 방문 또는 입원하여

수액치료, 약물치료를 해야 된다.

 

 

 

 

 ▶ 입덧이 심할 때 식사 요령 ◀

① 1일 5~6회 소량씩 자주 식사를 한다.

② 공복 시에 더욱 구토가 심하므로 속이 비지 않도록
 잠자리에서 일어날때 토스트, 크래커 등을 먹은후 일어난다.

③ 식사 전후로 30분 정도는 안정을 취한다.

④ 국물이나 음료는 식사시에 함께 먹지 말고 식후 30분 후에 마신다.

⑤ 음식 냄새를 피하고 주변 공기를 자주 환기 시킨다.

⑥ 찬 음식을 이용하면 음식 냄새를 덜 느끼게 된다.

⑦ 튀긴 음식은 피한다.

⑧ 잠자리에 들기 전에 간단한 간식을 먹고 잔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