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BCG 결핵 예방접종 경피용 피내용 경과과정
☞ BCG 결핵 예방접종 ☜
★ 우리나라 결핵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77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발생률 (일본의 4.8배, 미국의 24.8배)
를 보이고 있다.
★영유아의 경우 결핵균에 노출되면 결핵 뇌수막염,
파종성 결핵 등 중증 결핵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중증 결핵은 BCG 예방접종을 예방할 수 있다.
→접종대상 : 모든 영 - 유아
→권장 접종시기 : 생후 4주 이내
☞ 국가예방접종 지원 사업 ☜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신생아 대부터 만 12세까지
BCG(피내용) 예방접종을 포함한 총 17종의
국가 예방접종을 무료로 접종할 수 있다.
지원대상 국가예방접종 (17종 백신) BCG(피내용), B형간염, DT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IPV(폴리오), DTaP-IPV(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폴리오), DTaP-IPV/Hib(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폴리오/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Hib(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페렴구균,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 수두, A형간염 ,일본뇌염(불활성화백신/생백신), Td(파상풍/디프테리아), Tdap(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HPV(사랍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인플루엔자 |
→BCG(경피용) 등 기타예방접종은 지원대상이 아니다.
★ 예방접종도우미 (https://nip.cdc.go.kr) 홈페이지에서
가까운 지정의료기관을 확인할 수 있다.
★지정 의료기관 이용 시 거주지역에 관계없이 무료로 접종이 가능하다.
☞ BCG 예방접종 종류 ☜
★BCG 예방접종은 접종방법에 다라 피내 접종과 경피 접종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는 국가예방접종으로 피내 접종
방법으로 접종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세계 보건기구 (who)에서도 피내 접종을
권장하고 있다.
구분 | BCG 피내접종(주사형) | BCG 경피접종(도장형) |
접종방법 | 상완외측 삼각근 하단부위에 피내주사 (가장 얕은 표층내에 주사액 주입) |
상완외측 삼각근 하단부위에 주사액을 펴바른후 9개의 침이 있는 주사도구를 이용하여 두번에 걸쳐 강하게 눌러 접종 |
특징 | BCG 접종량이 상대적으로 일정하고 정확하다 |
접종량이 일정하지 않을수 있다. |
반흔여부 | 생성 | 생성 |
☞BCG (피내 접종) 예방접종 후 정상 경과과정☜
경과시점 | 내용 |
접종 직 후 | 접종부위가 부풀어 올랐다가 10~15분이 지나면 없어진다. |
1~2주 | 아무 소견도 보이지 않는다. |
2~4주 | 접종부위에 붉은 점이 나타나고 몽우리가 생겨 점점 커지고 단단한 결절 (10mm)이 된다. 이 후 결절이 부드러워지면서 농주머니가 만들어진다. 간혹 이 시기에 겨드랑이나 목 부위의 림프절이 멍울로 만져지는 경우가 있는데 보통 수개월 이내에 없어지거나 드물게 1년까지 지속될수 있다. |
4~6주 | 농주머니를 덮고 있는 피부를 뚫고 고름이 나오기도 하며 궤양을 형성한다. |
6~9주 | 궤양이 아물면서 딱지가 형성되고 이때 딱지를 누르면 고름이 나오며, 이후 점차 고름이 나오지 않게 된다. |
9~12주 | 딱지가 떨어지고 2~3mm 크기의 반흔을 남기며 아문다. |
☞BCG 예방접종 후 관리☜
▶깨끗한 속옷(가능한 면 종류)으로 갈아입고
접종부위를 깨끗하게 해 준다.
▶몽우리에 생긴 고름은 짜지 않는다.
고름이 많으면 소독된 솜으로 깨끗이 닦아주고 통풍이
잘 되게 해 준다.
▶접종부위에 궤양이 생기더라도 약을 바르거나
반창고 등을 붙이지 않도록 한다.
'육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5개월 (17주 ~20주) 증상부터 알아야 할 것 (0) | 2021.04.09 |
---|---|
임신 4개월 (13주 ~16주) 증상부터 알아야 할 것 (0) | 2021.04.09 |
임신 3개월 (9주 ~12주) 증상부터 알아야 할 것 (0) | 2021.04.08 |
임신 2개월 (4주 ~8주) 증상부터 알아야 할 것 (0) | 2021.04.07 |
임신 1개월 (4주 미만) 증상부터 알아야 할 것 (0) | 2021.04.07 |